성산위편한내과

만성간염

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치료를 약속합니다.

만성간염


대표 질환


/_files/6gOgj-5z-.jpg
  • A형 간염

    - A형 간염은 A형 간염에 감염된 사람의 분변이 체외로 배출되면서 전파됩니다.
    - 6세이하는 A형 간염에 감염되어도 무증상이 가깝지만 감염자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상이 심해집니다.
    - 증상은 황달, 피로, 소변 색이 짙어짐, 변의 색이 옅어짐, 식욕부진, 구역질이나 구토, 복통, 발열 등입니다.

  • B형 간염

    - B형 간염은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걸리는 간염입니다.
    - B형간염 바이러스는 감염자의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흔하고 산모에게 B형간염 바이러스가 있다면 태어나는 신생아에게도 수직감염됩니다.
    - 황달, 피로, 발열, 두통, 소변 색이 짙어짐, 변의 색이 옅어짐, 두드러기, 식욕부진, 관절통,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, 급성간염일 경우 증상이 약해서 잘 모르고 지내는 경우도 많으며 무증상도 많습니다.

  • C형 간염

    - C형 간염은 성적인 접촉이나 비위생적인 환경, 문신이나 피어싱을 받는 과정에서 전염될 수 있습니다.
    - C형 간염은 한번 감염되면 대부분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고 간경변증과 간암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흔합니다.
    - 대부분 무증상인 채로 간경변증이나 간암까지 진행되고 나서야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  • 알콜성 간염

    - 과도한 음주로 인해 간 세포가 파괴되어 염증이 발생하는 것이 알콜성 간염입니다.
    - 간손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엔 무증상이 지속되고 우상복부의 가벼운 통증, 소화불량, 피로감 등이 발생합니다.
    - 간손상이 점차 심해질 경우 우상복부의 통증이 심해지고 고열, 간비대, 황달, 식욕감퇴 등을 유발하며 복수, 정맥류 출혈, 간성뇌증 등이 함께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.

증상


  • 1
    식욕 감퇴, 소화 불량
  • 2
    복부 불쾌감
  • 3
    오른쪽 윗배에 둔탁한 통증
  • 4
    피로, 전신쇠약
  • 5
    눈동자와 피부가 노래짐
  • 6
    메스꺼움, 구토

예방 수칙


  • 1
    간염 검사와 간염 예방접종을 합니다.
  • 2
    지나친 음주는 심각한 간질환의 원인이므로 절제합니다.
  • 3
    일주일에 2번이상, 최소 30분 운동합니다.
  • 4
    불필요한 약은 오히려 간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복용을 피합니다.
  • 5
    간염 등 간질환자는 3~6개월 마다 정기검진을 합니다.
  • 6
    스트레스, 과로를 관리하고 적절한 휴식을 취합니다.